화학/일반화학

줌달 (8판) 1.5 유효 숫자와 계산

물리과오크 2021. 4. 13. 12:00

유효 숫자를 세는 규칙

1. 0이 아닌 정수. 0이 아닌 정수는 모두 유효 숫자에 포함시킨다.

2. 0. 세 가지 종류의 0이 있다.

a. 0이 아닌 숫자 앞에 오는 0: 유효 숫자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숫자 0.0025에서 앞에 있는 세 개의 0은 소수점의 위치만 나타낸다. 이 숫자는 두 개의 유효 숫자를 가진다.

b. 숫자 중간에 있는 0: 이것은 항상 유효 숫자에 포함시킨다. 숫자 1.008은 네 개의 유효 숫자를 가진다.

c. 숫자의 오른쪽에 있는 0: 숫자에 소수점이 있을 경우에만 중요하다. 숫자 100은 한 개의 유효 숫자를 가지며, 1.00 X 102은 세 개의 유효 숫자를 가진다.

3. 완전수. 측정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실험 10번. 사과 3개, 분자 8개 등과 같이 세어서 구한 값을 계산에 포함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숫자를 완전수라고 하며, 무한대의 유효 숫자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측정값을 이용한 계산에서 유효 숫자의 규칙

1. 곱셈과 나눗셈: 계산 결과의 유효 숫자는 계산에 사용한 값 중 정밀도가 가장 낮은 측정값의 유효 숫자와 같다.

예) 4.56 x 1.4 = 6.38 → 6.4

2. 덧셈과 뺄셈: 계산 결과는 계산에 사용한 값 중 정밀도가 가장 낮은 측정값과 소수점 아래 숫자의 개수가 같아야 한다.

예) 12.11 + 18.0 + 1.013 = 31.123 → 31.1

반올림 규칙

1. 여러 계산을 연속적으로 할 때는 마지막 결과를 얻을 때까지 모든 숫자를 가져가서 유효 숫자의 개수가 맞도록 반올림을 한다.

2. 만일 반올림하는 숫자가

a. 5보다 작으면 버린다. 예를 들어, 1.33을 반올림하면 1.3이 된다.

b. 5 이상이면 그 앞자리 수에 1을 더한다. 1.36을 반올림하면 1.4가 된다.

*계산 중간에 유효 숫자를 따져서 반올림하는 것과 모든 계산을 끝내고 마지막에 유효 숫자를 따져서 반올림하는 것은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