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화학의 기초
1.3 측정 단위
관찰은 과학의 기본이고, 정량적인 관찰은 수와 척도 두 부분으로 되어 있습니다.
일반 화학에서는 질량, 길이, 시간, 온도, 전류, 물질의 양 등의 측정을 다룹니다.
전 세계에서는 단위를 통일하기 위해 국제단위계인 SI 계를 정하였습니다.
*기본적인 SI 단위
| 
 물리적인 양  | 
 단위 명칭  | 
 단위 기호  | 
| 
 질량  | 
 킬로그램  | 
 kg  | 
| 
 길이  | 
 미터  | 
 m  | 
| 
 시간  | 
 초  | 
 s  | 
| 
 온도  | 
 켈빈  | 
 K  | 
| 
 전류  | 
 암페어  | 
 A  | 
| 
 물질의 양  | 
 몰  | 
 mol  | 
| 
 조명도  | 
 칸델라  | 
 cd  | 
**SI 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척도
| 
 접두사  | 
 기호  | 
 의미  | 
 지수 표기  | 
| 
 mega  | 
 M  | 
 1,000,000  | 
 10^6  | 
| 
 kilo  | 
 k  | 
 1,000  | 
 10^3  | 
| 
 hecto  | 
 h  | 
 100  | 
 10^2  | 
| 
 deka  | 
 da  | 
 10  | 
 10^1  | 
| 
 -  | 
 -  | 
 1  | 
 10^0  | 
| 
 deci  | 
 d  | 
 0.1  | 
 10^-1  | 
| 
 centi  | 
 c  | 
 0.01  | 
 10^-2  | 
| 
 milli  | 
 m  | 
 0.001  | 
 10^-3  | 
| 
 micro  | 
 μ  | 
 0.000001  | 
 10^-6  | 
| 
 nano  | 
 n  | 
 0.000000001  | 
 10^-9  | 
$\normal{1}{화학에서\ 중요한\ 물리적인\ 양은\ 부피인데\ SI\ 기본단위에\ 빠져있습니다.}$화학에서 중요한 물리적인 양은 부피인데 SI 기본단위에 빠져있습니다.
$\normal{1}{그것은\ 길이로부터\ 유도된\ 것이기\ 때문이죠.}$그것은 길이로부터 유도된 것이기 때문이죠.
$\normal{1}{각\ 변의\ 길이가\ 1미터인\ 정육면체의\ 부피는\ 1\mxx 입니다.}$각 변의 길이가 1미터인 정육면체의 부피는 1㎥입니다.
1.4 측정의 불확실성
측정에는 언제나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측정의 불확실성은 항상 확실한 자리수와 불확실한 첫 번째 자리 수를 기록하여 나타냅니다. 이들 숫자를 측정의 유효 숫자라고 합니다.
유효 숫자는 측정에서의 불확실성을 자동적으로 나타내는데요. 마지막 숫자의 불확실성은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보통 ±1로 가정합니다. 예를 들어 1.76m라는 측정값은 1.76 ± 0.01 m를 뜻합니다.
*정밀도와 정확도
측정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하는 용어로 정밀도와 정확도가 있습니다.
정확도란 측정값이 참값에 얼마나 근접하고 있는가를 나타내고, 정밀도란 같은 양을 여러 번 측정했을 때 이들 측정값이 얼마나 서로 비슷한 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정밀도는 측정의 재현성을 나타냅니다.
**우연 오차(random error)와 계통 오차(systematic error)
우연 오차: 측정값이 크거나 작게 나타날 확률이 같은 오차. 측정값의 마지막 자리 숫자를 추정할 때 발생.
계통 오차: 항상 같은 방향으로 발생. (탄착군은 형성되나 과녁에서 벗어나 있다.)
'화학 > 일반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줌달 (8판) 1.7 온도 (0) | 2021.04.15 | 
|---|---|
| 줌달 (8판)1.6 단위 차원 분석 (0) | 2021.04.14 | 
| 줌달 (8판) 1.5 유효 숫자와 계산 (0) | 2021.04.13 | 
| 줌달 (8판) 1.1 화학: 개요, 1.2 과학적 방법 (0) | 2021.04.11 | 
| 줌달 (8판)일반화학: 차례 (0) | 2021.04.07 |